[면목7동] 환경학교 마지막 이야기 ‘제로 웨이스트’ > 마을이야기


마을이야기

[면목7동] 환경학교 마지막 이야기 ‘제로 웨이스트’

페이지 정보

조회 330회   작성일 22-09-02 17:23

본문

동북여성환경연대 초록상상과 함께하는 환경학교! 벌써 마지막 시간이 다가왔습니다. 

환경학교 마지막 시간에는 제로 웨이스트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먼저, 제로 웨이스트가 왜 필요한지에 대해 토론을 통해 배워보았습니다.


 


현재 수도권에서 버려진 폐기물은 인천에 있는 매립지에서 처리가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매립지는 2025년까지만 운영되고 곧 문을 닫기 때문에 새로운 쓰레기 매립지를 찾아야만 합니다.

쓰레기 매립지는 우리 생활에 꼭 있어야 하는 것이지만 악취나 먼지 등 인근 주민들에게 불편을 주는 혐오시설로 여겨져

어느 동네 주민들도 매립지 건설을 받아들이지 않아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두고 아이들과 함께 토론을 진행했습니다.

 

2025년 이후부터는 서울시의 쓰레기를 버릴 곳이 없습니다.

우리 집 앞에 쓰레기장을 만드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바로 집 앞에 쓰레기장이 있으면 깨끗한 공기를 마실 수 없으니까 너무 힘들 것 같아요. 그래서 저는 반대에요.”

 

쓰레기장이 하나도 없으면 쓰레기를 아무 곳에나 버리게 되고 그러면 환경이 더 나빠지니까요. 우리 집 앞이더라도 쓰레기장은 만들어야 할 것 같아요.”

 

토론을 통해 다양한 의견이 오가고, 서로의 입장을 이해해볼 수 있었습니다.

새로운 매립지가 생기더라도 지금처럼 계속 쓰레기가 생긴다면 묻을 곳은 또 다시 부족해질텐데 애초에 쓰레기를 줄이는 방법은 없을까요?

이수연 선생님이 비 존슨의 5R 동을 소개해주셨습니다.


 


1. 거절하기 (Refuse) : 필요하지 않는 것은 거절하기

2. 줄이기 (Reduce) : 꼭 필요한 것만 구입하여 사용량을 줄이기

3. 재사용하기(Reuse) : 줄일 수 없는 물건은 재사용하거나 재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구입하기

4. 재활용하기(Recycle) : 거절하거나 줄이거나 재사용하기 어려운 물건은 다른 용도로 다시 사용하기

5. 썩히기(Rot) : 음식물은 썩혀서 비료나 사료로 활용하기

 


 


다음으로는 제로 웨이스트 물품을 직접 구경하며 체험해보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스테인리스 빨대, 커피박 화분, 커피박 연필, 천연 수세미, 고체 치약, 대나무 칫솔, 나무 수저, 샴푸바, 라텍스 장갑, 소프넛 등

쓰레기를 줄이는 제로 웨이스트 물건들이 아주 많았습니다.

이수연 선생님께 이런 물건들은 어떻게 사용하는 건지, 어떤 점에서 환경에 도움이 되는지 설명도 들었습니다.

제로 웨이스트 물건들을 직접 체험해보며 소감도 나눠보았습니다.

아이들의 소감을 통해 환경을 아끼는 고운 마음들이 느껴집니다.


 


"플라스틱은 지구에 좋지 않은데, 이렇게 환경을 위한 물품들이 더 많이 생기면 좋겠어요!"


"쓰레기를 줄일 수 있는 물건들이 많아 신기했고, 비 존슨의 5R 운동을 잘 실천해서 쓰레기 없이 살아야겠어요!"

"여러 가지 제로 웨이스트 물건들이 신기하고 재밌었어요! 덕분에 환경에 대해 더 관심이 생겼어요!"


"제로 웨이스트 물건들의 공통점은 친환경 재료로 만들어졌다는 것이에요. 앞으로 제로 웨이스트에 더 관심을 가져야겠어요~ 그래야 지구와 환경에 도움이 되고, 우리 모두 행복하고 편안하게 살 수 있기 때문이에요!"


 


마지막 회기를 맞이해 환경학교로 함께한 친구들에게 대나무 칫솔과 고체 치약 선물이 있었습니다.

대나무 칫솔 손잡이 부분에는 앞으로 환경을 지키기 위한 각자의 다짐을 적어보았습니다.

앞으로 아이들이 양치질을 할 때 마다 칫솔에 적은 것을 보고 환경을 떠올려볼 수 있겠지요?





 

환경학교 이후에는 매주 목요일 4시에 오거리공원에서 줍깅 활동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골목골목을 다니며 걷기 운동도 하고, 쓰레기도 주우며 환경을 지키는 줍깅 활동은 건강과 환경 모두 챙길 수 있답니다!

오거리 공원 줍깅 활동은 환경과 아동 모임에 관심 있다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매주 목요일 오후 4시!

오거리공원에서 진행되는 줍깅활동에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주소 : (02257) 서울특별시 중랑구 용마산로 228 면목종합사회복지관
전화 : 02-436-0500  |  팩스 : 02-439-5111  |  이메일 : truem500@hanmail.net
Copyright © 2021 면목종합사회복지관. All rights reserved. Supported by 푸른아이티